홍차의 산지별 종류
홍차의 산지별 종류
그 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류가 있는 와인. 그러나 홍차의 류가 얼마나 되는지 알게 되면 놀라게 될 것이다. 이 포스팅에서는 홍차의 산지별 종류에 대하여 더 알아보도록 하자.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분류
홍차의 종류가 와인보다도 더 많다는 얘기는 이미 앞에서 여러 차례 언급했다. 이렇게 종류가 다양한 홍차도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 우선 시중에 유통되는 홍차의 포장형태를 기준 삼아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일상생활용 홍차(Ordinary Teas)
② 비일상용의 특제 홍차(Speciality Teas)
③ 공업용 원료 홍차(Bulk Teas)
다음에는 홍차의 원료인 찻잎의 생산시기(season)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생산시기는 인도를 예로 든다면 겨울철, 여름철, 우기(雨期)로 나누어진다.
①3~4월에 채취하는 1번차(First Flush Teas)
② 5~6월에 생산되는 2번차(Second Flush Teas)
③ 가을철에 생산되는 오텀널 차(Autumnal Teas)
세계 3대 홍차 명산지 중 하나인 다르질링 지역에서 5~6월에 생산되는, 이른바 2번차(second flush)는 다르질링 지방 특유의 향기가 제일 잘 나타날 뿐 아니라 차의 빛깔 또한 뛰어나서 퀄리티 시즌 티(quality season teas)라 불린다. 품질이 뛰어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생산되는 차가 모두 상품은 아니고 그 가운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극상품은 겨우 5% 정도에 불과하다. 한편 7월에서 8월 하순까지는 비가 많은 우기(rainy season)인데 일반적으로 우기에 생산되는 차의 품질은 그렇게 좋지 않다. 그러나 비는 차의 성장을 촉진해주기 때문에 차 수확량이 많아 업자들은 이 기간을 베스트 시즌(best season)이라 부른다.
하지만 이때의 베스트 는 결코 품질의 베스트'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같은 용어라도 사용자의 입장 여하에 따라 정반대의 뜻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11월부터 짧은 건기(乾期)가 시작되는데 이 시기를 가을 채취기(autumnal season)라 부른다. 기간이 짧아 생산량은 많지 않으나, 품질은 좋다. 한편 인도의 남부지방은 스리랑카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기상조건도 비슷하여, 일 년에 두 차례의 계절풍을 맞는다.
인도와 스리랑카의 지역의 홍차
이 지방은 일년 내내 어디에선가 차가 채취되고 있으나, 가장 좋은 차는 12월에서 다음 해의 1~2월 사이에 생산된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이 기간을 퀄리티 시즌이라 부르고 있다. 스리랑카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일 년에 두 차례 계절풍이 불어오기 때문에 연중 차가 생산된다.
스리랑카 섬의 남동부의 산악지대(우바, . 마도 우라다. 하프다레, 우다. 풋세라와 지구 등)에서는 6월에서 9월 사이에 건기를 맞게 되는데, 이 건기가 끝나 가는 8월 초에서 9월에 이르는 짧은 기간을 퀄리티 시즌이라 하여 이 기간 중에 향기 높은 양질의 차가 생산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리랑카의 중앙 산지에서 서쪽에 이르는 지방(Westerns, 누와라 엘리아, 딤부라 지구 등)에서는 10~11월에서 다음해의 1~3월 사이에 건기를 맞게 되는데, 이 기간이 바로 양질의 차를 생산하는 퀄리티 시즌인 것이다.
인도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생산시기에 따른 홍차의 종류와 퀄리티 시즌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다음에는 생산지역에 따른 홍차의 종류를 살펴보기로 하자. 크게 나눈다면, 인도 홍차, 스리랑카 홍차(실론티), 중국 홍차, 인도네시아 홍차, 케냐 홍차 등 나라별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 러한 나라별 홍차의 구별은 별로 의미가 없다.
이들 나라들은 국토가 넓고 지형 및 기상조건 등이 달라 같은 나라 안에서도 전혀 다른 특징의 차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산지역별 홍차의 분류는 나라보다.는 오히려 지역에 따라 나누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다. 인도, 스리랑카.중국을 중심으로 지역별 홍차의 종류를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북동 인도 홍차(아삼, 다즐링 등)
남인도 홍차(닐기리 등)
실론 홍차(우바, 누와라 엘리아, ₂부라, 디아고 등)
중국 홍차(운남, 호남, 절강, 광동, 안휘, 해남 등) 이 밖에 인도에서는 수년 전 까지도 '징세 지역'을 기준으로 5개 지구로, 스리랑카에서는 제다공장의 위치의 고도(표고)에 따라 3개 지구로 나누기도 하였는데, 그 구분은 동시에 홍차의 품질과 가격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내용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인도차의 구분
1)(북) 고르빠가, 카자르, 도리뿌라, 비하르 등 (남) 니루기리(低地)
2)(북) 드아스, 디라이, 아삼 하류지역 (남) 핫산, 코인바도르, 마도우라이
3)(북) 다즐링 (카시옹, 사다르)
4)(남) 닐기리(위디, 쿠나)
5)(북) 아삼(다란, 라그힌부르, 시부사가르)
스리랑카차의 구분
1)저지산(low-grown, 공장입지 670m이하)
2), 중지산(medium-grown, 670~1300m)
3)고지산(high-grown, 1300~2300m)